반응형

역사여행 2

세계 2차대전 나치 수용소 탐방기 – 아우슈비츠, 비르케나우, 그리고 4곳의 역사적 장소

1. 서론 "인간이 왜 인간을 죽일까?"라는 오랜 의문에서 이 탐방은 시작되었습니다. 인간의 역사에서 학살은 끊임없이 반복되었고, 갈등은 전쟁과 양민 학살로 이어졌습니다. 같은 인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죽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간의 갈등은 대개 욕심에서 비롯되며, 갈등이 심화되면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편을 가르게 됩니다. 갈등의 골이 깊어지기 전에 타협하고 해결하면 될 일이지만, 인간사에서는 그것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갈등이 왜 죽음까지 이어져야 하는지는 쉽게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물음은 와 이라는 책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두 책에 이르기까지 많은 책들을 읽으며,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혀 있던 시간들을 되돌아보게 되었고, 스스로 가지고 있는 역사적, 정치적 편견이 어떻게..

한국전쟁 속 아픔을 살펴보는 <<노근리, 그 해 여름>><<노근리 그 후>>

1. 노근리, 그 해 여름  초등학교 6학년이었는지 중학교 1학년이었는지 잘은 모르겠지만 아무튼 10대 초반 독서토론 논술과외에서 이 책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노근리라는 지명을 익히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 내용은 잘 기억나지 않았고 최근 제주 43 관련돼서 책을 읽고 제주도를 다녀왔기 때문에 그 감정을 고스란히 이어받고자 이어서 분단소설을 읽어보기로 마음먹었다. 소년소설 또는 청소년소설로 분류되는 이 책을 집필한 김정희 작가는 놀랍게도 2020년에 >이라는 책을 쓰셨다. 뒤에 언급될 >로 부터 곡계굴 사건 또한 노근리 사건과 그 결이 비슷하다. > 책의 마지막 글쓴이의 말에서는 라는 제목을 가지고 청소년들에게 한국전쟁의 의미와 그 사실을 잊지 말자고 강권한다. 그리고 비극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

반응형